|
 |
1. 고혈압 |
경도 내지 중등도의 본태성 고혈압 |
2. 급성 심근경색 |
심부전의 증상 또는 징후 유무에 관계없이, 혈액동력학적으로 안정하고 혈전용해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 |
 |
이 약은 식사와 무관하게 복용할 수 있다. 용량은 환자의 반응에 따라 조절해야 한다. 순응도 개선을 위해 가능하면 매일 같은 시간(예: 아침)에 복용할 것이 권장된다.
|
1. 고혈압 |
용량 조절은 다음 용량을 투여하기 직전의 혈압 측정 후에 결정되어야 한다. 용량은 4주 간격으로 증가되어야 한다. |
체액 또는 염류 부족이 없는 환자 |
1일 1회 15 mg으로 투여를 시작한다. 이 약의 권장용량은 1일 1회 30 mg이며, 혈압조절이 잘 되지 않는 경우 1일 최대 60 mg을 1회 또는 2회 나누어 투여하거나, 이뇨제를 병용투여할 수 있다. |
체액 또는 염류결핍이 의심되는 환자 |
초회투여시 고위험군환자 (“3.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” 참고)에서 저혈압이 발생할 수 있다. ACE 저해제 투여를 위해서는 체액 및/또는 염류 부족을 치료하고, ACE 저해제 투약 2~3일 전부터 이뇨제의 투여를 중단한 후 1일 15 mg의 용량으로 투여를 시작한다. 만약 위의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, 1일 7.5mg으로 투여를 시작한다. 중증의 급성 저혈압의 고위험군 환자인 경우 초회투여 및 용량증량시 최대 혈압 저하효과가 관찰될 때까지 병원에서 주의하면서 관찰한다. 이는 과도한 저혈압으로 인해 심근경색 또는 뇌혈관계 사건이 일어날 수 있는 협심증 또는 뇌혈관계질환환자에도 적용된다. |
신부전 환자 및 투석환자 |
이 약은 경증의 신부전 (크레아티닌청소율 > 45 mL/min)을 동반한 고혈압환자에서는 용량조절이 필요 하지않다. 중등도에서 중증 신부전 환자 (크레아티닌청소율 < 45 mL/min)의 경우 7.5 mg으로 투여를 시작한다. 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인 경우, 3.75 mg으로 투여를 시작한다. |
고령자 |
정상 신기능을 가진 고령자의 경우 용량조절이 필요하지 않으나, 크레아티닌 청소율이 감소된(45 mL/min미만) 고령자는 1일 1회 7.5 mg으로 투여를 시작한다 (“3.다음 환자에는 신중히투여할 것” 참고) |
간부전환자 |
경증에서 중등증의 간부전 환자의 경우 7.5 mg으로 투여를 시작한다. 중증 간부전 환자인 경우 이 약을 투여해서는 안된다 (“2.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” 참고). |
2. 급성 심근경색 |
이 약 투여시 환자는 질산염제제, 아스피린, 베타차단제와 같은 적절한 표준치료를 받아야 한다. 급성심 근경색의 증상 발생 후 24시간 내에 다음과 같이 투여를 시작하며 6주간 치료를 지속한다. |
1일 및 2일 : 12시간마다 7.5 mg |
3일 및 4일 : 매 12시간마다 15 mg |
5일 이후 : 매 12시간마다 30 mg |
치료 시작 후 또는 심근경색 후 3일 동안 낮은 수축기혈압(≤ 120 mmHg)이 관찰되는 경우 용량을 증량해서는 안된다. 저혈압 (≤ 100 mmHg)이 관찰되는 경우 최종 내약용량으로 치료를 지속한다. 중증 저혈압환자 (최소 1시간 간격으로 2회 측정된 수축기말 혈압이 90 mmHg보다 낮은경우)인 경우 이 약의 투여를 중단하여야 한다. 이 약을 6주간 투여한 후 환자의 상태를 재평가하여, 좌심실 기능부전 또는 심부전의 징후가 없다면 투여를 중단하여야 한다. 만약 이러한 징후가 있는 경우 이 약의 투여가 장기간 지속될 수도 있다. |
고령자 |
: 정상 신기능을 가진 고령자의 경우 용량조절이 필요하지 않으나, 크레아티닌 청소율이 감소된(45mL/min미만) 고령자는 1일 1회 7.5 mg으로 투여를 시작한다. (“3.다음 환자에는 신중히투여할 것” 참고). |
간부전환자 |
: 경증에서 중등증의 간부전 환자의 경우 7.5 mg으로 투여를 시작한다. 중증 간부전 환자인 경우 이 약을 투여해서는 안된다 (“2.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” 참고). |
기밀용기, 실온(1-30℃)보관 |
28정 |